top of page

“이런 팀이 있을 수 있나…” 친정 흥국으로 돌아온 김기중 감독, 실망한 선수들 마음 어떻게 달랠까

코치가 아닌 감독이 되어 흥국생명으로 돌아온 한 남자가 실망한 선수들의 마음을 어떻게 달래며 잔여 시즌을 치를까.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흥국생명은 단장-감독-수석코치가 떠난 팀이 되었다. 2일에는 권순찬 감독과 김여일 단장이 동시에 경질됐고, 5일에는 이영수 수석코치가 GS칼텍스와 경기를 끝낸 후 사의를 표명했다.


여러 논란과 싸우고 있는 흥국생명. 5일에는 흥국생명 팬들이 자진해서 클로퍼를 만들어 선수들을 응원했고, 신임 단장도 취재진 앞에 서 이전에 있었던 일련의 과정들을 설명했다.



그리고 6일, 흥국생명은 새 감독을 빠르게 선임했다. 익숙한 이름이다. 바로 김기중 선명여고 감독이다. 김기중 감독은 2018년부터 2022년 초까지 4년간 박미희 감독을 보좌했다.


1975년생인 김기중 감독은 성균관대 졸업 후 1997년부터 2004년까지 선수로 활약했다. 은퇴 후에는 GS칼텍스(2008~2009), LIG손해보험(2009~2012), KGC인삼공사(2012~2013), 현대캐피탈(2013~2015)에서 코치 생활을 한 뒤 2018년 흥국생명 수석코치로 부임해 2018-19시즌 통합우승, 2020-21시즌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하는 영광을 누렸다. 권순찬 감독과 친구 사이다.


일단 팀을 이끌 새로운 선장이 왔지만 해결해야 될 문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흥국생명은 전 단장의 경기 운용 개입 논란이 있었다. 이 과정에서 전 단장과 권순찬 감독이 갈등을 빚었다. 신용준 신임 단장은 “선수 기용이 아니라 선수단 운용에 갈등이 있었다”라고 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


5일 GS칼텍스와 경기 종료 후 들어온 김연경과 김해란은 “우리도 전임 단장님의 개입을 느꼈다. 이로 인해 상처받은 선수들도 있다. 우리는 위에서 원하는 대로 하다가 진 적도 있다”라고 발언했다.


옆에서 감독에게 훈수질을 두는 전 단장의 모습을 본 선수들의 마음에는 실망감이 가득하다. 팀 성적이 좋지 않으면 모를까. 흥국생명은 리그 2위를 달리고 있는 팀이다. 문제로 삼은 김연경-옐레나 므라제노비치(등록명 옐레나)를 붙여 쓰는 로테이션은 상대 팀들에게 경기를 치르는 데 있어 두려움을 가져다준다.


팀에 안정감을 주는 감독은 떠났다. 선수들을 응원하고, 그들의 뜻을 지지하던 감독은 구단의 뜻에 의해 사실상 쫓겨났다.


이에 김연경은 ”만약 다음 감독님이 오셔도 신뢰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 감독님은 회사에서 원하는 감독님 아니겠나. 지금 회사는 회사의 말을 잘 듣는 감독을 원한다는 거나 다름없다. 구단에서 어떻게 이야기를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납득이 잘 가지 않는다. 이런 팀이 있을까 싶다“라고 이야기했었다.


물론 선수단 파악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시즌까지 팀에 있었고, 선수들도 대부분 남아 있다. 김기중 신임 감독이 새로 보는 선수들이라면 이번에 뽑힌 신인 선수들과 옐레나뿐이다.


가장 중요한 건 구단에 휘둘리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실망감이 큰 선수들의 마음을 달래줘야 한다. 김기중 감독 역시 이를 인지하고 있을 터. 김해란은 “전 단장의 개입을 느낀 적이 있었다. 선수들도 알고는 있었다. 마음 상한 선수들도 있었다. 감독님에게 몇 번 이야기를 했었다. 마음 상했다고 이야기했다”라고 했었다.


돌아온 김기중 감독은 실망감이 큰 선수들을 잘 달래어 감독 데뷔전을 잘 치를 수 있을까.


김기중 감독은 “지난 4년간 흥국생명에서 선수들과 동고동락했다. 다시 흥국생명에 돌아와 감독직을 맡아 새로운 도전에 나서게 되었다. 팬들의 열정적인 응원에 보답할 수 있는 좋은 경기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김기중의 감독 데뷔전은 8일 화성종합경기타운 실내체육관에서 열리는 IBK기업은행전이다. IBK기업은행 감독은 김호철 감독. 김기중 감독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현대캐피탈에 있을 당시 모셨던 스승이다.




조회수 14회댓글 0개
bottom of page